뉴스브리핑
모로코, BRICS+ 가입 전략 검토...글로벌 동맹 관계 재정립
모로코 Le Matin_nation, Morocco Worldnews 2025/07/11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모로코, BRICS+와 글로벌 동맹 관계 전략적 포지셔닝 모색
- 지난 7월 6~7일 리우데자네이루(Rio de Janeiro)에서 열린 BRICS+ 정상회의에서 모로코는 기존 동맹 관계를 유지하면서 BRICS+와의 관계 설정에 대한 전략적 결정에 직면함.
- 모로코 전략연구소(IRES: Royal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는 2035년까지의 BRICS+ 전략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며 정회원 가입보다는 전략적 유연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 BRICS+ 회원국과의 복잡한 양자 관계 및 경제 역학 관계
- 모로코는 BRICS+ 회원국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UAE)와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란과는 도전적 관계에 있음.
- 2022년 BRICS+와의 무역액은 252억 7,000만 달러(약 34조 4,700억 원)를 기록했으며 146억 달러(약 19조 9,200억 원)의 무역적자를 보인 반면, G7 국가들과는 상대적으로 적은 무역적자와 함께 더욱 견고한 정치·안보 협력 관계를 유지함.
☐ 모로코의 미래 전망 및 전략적 권고사항
- 모로코 전략연구소는 BRICS+와 '고도화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제안하며 양자 관계 강화와 선별적 참여에 중점을 둘 것을 권고함.
- 모로코는 정치적 안정성, 전략 프로젝트, 아프리카 투자를 바탕으로 다극화되는 세계 질서 속에서 핵심 역할자로서의 입지를 구축함.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트럼프 대통령, 서아프리카 정상들과 무역·개발 논의 | 2025-07-10 |
---|---|---|
다음글 | 이란, 민간용 드론 기술 급성장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