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에티오피아의 민간 투자환경: 현황과 도전과제, 발전 잠재력

에티오피아 Dr. Balew Demissie Policy Studies Institute and Addis Ababa University, Ethiopia Researcher & Publications Officer 2023/06/13

You may download English ver. of the original article(unedited) on top.



서론
미래 성장 가능성을 보고 현재 보유한 자금을 투입하는 성격을 지닌 투자는 일국의 경제성장 및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대상으로 하는 여러 경제성장 계획은 대체로 민간 투자를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제시한다. 하지만 에티오피아에서는 민간이 아닌 공공부문이 경제 개발에서 차지하는 지분의 비중이 크고, 민간 투자 생태계도 시기별 정권에 따라 많은 부침을 겪었다. 제정 시기에 사실상 전무한 상태에 있었던 에티오피아의 민간 투자는 사회주의 이념을 표방한 데르그(Derg) 정권까지도 별다른 발전을 이루지 못했지만, 인민혁명민주전선(EPRDF,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집권기와 아비 아머드(Abiy Ahmed) 총리 재임기에 들어서는 민간 투자 생태계가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기 시작했다(Anemut, 2020). 이 중에서도 본고는 특히 아머드 총리가 취임한 2018년 4월부터 지금까지를 분석 시기로 삼아 에티오피아 내 민간 투자의 현황과 도전과제, 전망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에티오피아의 민간 투자 여건 
에티오피아  경제는 지난 15년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의 경제성장 속도를 보여주었고, 여기에는 공공 인프라 투자를 중심으로 한 자본 축적이 큰 역할을 했다. 대형 투자건을 중심으로 국내·외 주체를 위한 투자 기회 및 조건을 개선하는 임무를 전담하는 기관에는 에티오피아 투자위원회(EIC, Ethiopian Investment Commission)가 있는데, EIC는 자본 투자가 적절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치적으로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일을 목표로 삼는다. 또한 에티오피아 정부는 국내 저축액 부족과 기술 격차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 재원을 도입하는 데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Oqubay & Lin, 2020).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에티오피아의 산업·서비스 부문 성장률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면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둔화되었지만, 국가 인구 중 70% 이상이 종사하는 농업이 받은 피해는 상대적으로 그리 크지 않았고, 오히려 2020/21 회계연도에 달성한 경제성장에 상당히 기여하기도 했다. 농업은 그 자체뿐만 아니라 식품업, 직물업, 건설업을 비롯한 다른 업계의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상당한 중요성을 지니는 부문이다.

하지만  상기한 일부 긍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현재 에티오피아의 민간 투자는 쉽지 않은 여건에 처해 있다. 에티오피아는 세계은행(World Bank)의 기업환경평가(Ease of Doing Business Index)에서 세계 190개국 중 161위를 기록해 기업환경 측면에서 나쁜 평가를 받았는데, 세계은행은  기업환경이나 경쟁력 측면의 한계가 아직 발전 수준이 낮은 에티오피아 민간부문의 성장 및 일자리 창출 잠재력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World Bank, 2022).

일반적으로 민간 투자에 장·단기적 영향을 주는 거시경제적 요소에는 공공 투자 및 지출, GDP 성장률, 인구 성장률, 실업률, 무역 개방도, 세율, 환율, 실질 금리 등이 있다. 한편 금융 및 대출 접근성, 분야별 투자 잠재력 및 유인책, 인프라 시설, 사법체계, 부패 문제의 수준, 절차적 장애물 등도 민간 투자환경을 조성하는 사회·경제적 요소에 포함된다. 오늘날  에티오피아의 민간 투자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적절한 기조 철학, 비용을 충당할 자본, 제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능한 인력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요소의 현실적인 확보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태에 있다.

에티오피아의  민간 투자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
먼저 에티오피아는  커피, 금, 유채, 원예상품 등을 주요 수출품목으로 삼고 있지만, 식품, 직물, 유지, 공산품, 광물, 연료, 윤활제 등 여러 품목의 수입 규모가 크다는 점이 외환보유고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Tilahun, 2021). 경제학자들은  에티오피아의 무역 입지 강화를 위해 필요한 과제로 무역수지 개선, 수입 대체산업 육성, 수출 증대를 제시하나, 이들 방안을 얼마나 현실화할 수 있을지는 명확하지 않다. 현재  에티오피아는 외채는 늘어나는 반면 국내 저축액 규모는 제한되어 있어 자체적 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수출로  얻은 수익의 상당 부분도 부채 상환에 사용되는 바람에 민간 투자 증진 목적에 투입되지 못하고 있다.

다음으로 에티오피아의  금융부문은 국영은행의 비중이 높아 민간 기업의 대출 접근성이 낮고, 많은  소기업들은 담보 자산을 충분히 지니지 못해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Singh, 2019). 에티오피아에  소재한 은행은 대부분 민간 소유이며, 국영은행은 소수에 불과하고 외국계 은행은 아예 전무한 상태이다(최초 외국계 은행은 2023년에 개점 예정). 1905년에 문을 연 국영은행인 에티오피아 상업은행(Commercial Bank of Ethiopia)은 현재 주요 외화보유액이 부족해 투자자들에 달러 대출을 적절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1951년에 창설되어 국내·외 투자자 모두를 상대로 영업하는 에티오피아 개발은행(Development Bank of Ethiopia)도 중소기업의 장비 수입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외화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이처럼 에티오피아 소재 은행들은 대체로 인구나 민간 투자 성장률에 비해 발전 속도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에티오피아의 노동시장은 수요-공급 불일치, 정보 부족, 제도화 수준 미비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생산가능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일자리 경쟁이 심화되었다는 점도 중요한 사회·경제적 문제인데, 현재 에티오피아의 인구성장률은 연간 3.02%에 달해 2030년에는 총인구가 1억 4,4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ILOSTAT, 2019), 인구 구성에서도 젊은 인구의 비중이 높아 생산가능인구의 성장률은 총인구 성장률보다도 훨씬 빠르다. 2018년을 기준으로 에티오피아 인구 중 15세 미만 어린이는 45%, 30세 미만 청년층은 71%에 달하고, 15~35세  인구의 비중은 2000년 약 33%에서 2019년에는 37.38%로 증가했다.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인구 대국 에티오피아는 해마다 15만 명의 대학 졸업생들을 쏟아내는 중이고, 에티오피아 정부는 해마다 노동시장에 새로 진입하는 인구가 200만 명 수준인 것으로 추산한다(Ethiopian Job Creation Commission, 2019) (ILO STAT, 20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티오피아는 부적절한  교육체계로 인해 숙련  노동력은 오히려 부족한 상태에 있어 혁신이나 기술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 때문에 풍부한 국내 노동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숙련 인력을 외국에서 유치하는 경우가 잦다. 특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실업이나 불완전고용이 중대 문제로 부상하고 있는데,  2018년을 기준으로 에티오피아 도시 지역의 청년실업률은 25.3%를 기록했고, 특히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 중 30%는 별도 교육과정도 밟고 있지 않아 구직을 단념한 니트족(NEET, Neither Employment Nor Education)으로 분류된다(Marielle, 2020). 이러한 실업률보다도 심각성이 더욱 큰 문제는 취업에 성공한 청년들의 경우에도 일자리의 질이 떨어지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게다가 최근 에티오피아 영토 북부에서 전개된 전쟁도 GDP, 수출·입 실적, 무역수지 측면에서 악영향을 가져와 투자자들이 현지에서 외화로 장비를 구매하기가 어려워진 상태이다. EIC에서 내놓은 자료에서도  이러한 정세불안이 기업환경 악화 및 투자 불확실성 증대로 이어졌다고 평가한다(EIC, 2017).

이외에 에티오피아의 민간 투자 성장을 저해하는 기타 요인으로는 ▲지방 기업이나 개인 사업체의 입장에서 지나치게 길고 복잡한 창업 및 사업 면허 취득 절차 ▲낙후된  수송체계 및 전력 인프라 ▲제한적  규모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보험업 부문의 법제화나 기업활동 수준 ▲제대로 된 주식시장이나 거래소의 부재 ▲주요 외화 환율 불안 ▲대부분의 산업이 내륙 지역인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 및 오로미아(Oromia)에 집중되어 있다는 특성에서 발생하는 지역별 민간 투자 발전 격차 ▲해외에  소재한 외교공관이 여럿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에티오피아 민간기업의 자사 상품 홍보 노력 ▲투자자들이  에티오피아의 공공 이익에 대한 고려 없이 정부로부터 부여받은 특권을 오·남용하면서 발생하는 지방 인구와의 마찰 사례를 들 수 있다.

향후 에티오피아 민간 투자 발전의 견인요소
지난  14년간 약 11%의 평균 GDP 성장률을 보여 세계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 목록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던(The Ethiopian Embassy in the United States, 2022) 에티오피아는 앞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이 많고 통상·산업 분야 발전 잠재력도 다대하며, 정부 차원에서의 민간 투자 증진 의지도 강하다. 이러한 에티오피아의 향후 경제적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대표적 요소를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적절한 직능훈련을 거치면 산업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5,400만 명 수준의 풍부한 노동인구를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중동과  유럽, 아시아로의 접근성이 좋은 전략적 입지를 지닌 에티오피아는 무역 협정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 유럽연합(EU), 일본, 캐나다, 튀르키예, 호주, 뉴질랜드 등 세계 최대 규모 시장에 관세나 수입쿼터제의 제약 없이 접근할 수 있으며, 이외에 대표적 신흥국인 인도, 그리고 인구 4억 명 규모의 동남아프리카 공동시장(COMESA,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접근에 있어서도 특혜를 누린다.

다음으로 셋째, 수도 아디스아바바와 지부티(Djibouti)항을 잇는 전기철도선이나 국내 20개, 세계 100개 공항과 이어진 세계구급 국제공항 등 수송 인프라 측면에서의 발전상이 두드러진다. 넷째, 완공시 6,000메가와트 수준의 발전량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그랜드에티오피아 르네상스댐(GERD, Grand Ethiopia Renaissance Dam)을 비롯해 수력·풍력·지열 등 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의 투자 잠재력이 높다. 다섯째, 개발 우선분야 및 수출지향형 투자를 위한 다양한 유인책 패키지가 존재하며, 제조업, 산업단지 개발, 농업, 관광업, 에너지 및 광업 부문의 투자 기회도 다양하다. 이외에도 국제 지표에서 138개국 중 34위를 기록한 공공 정책결정의 공정성, 그리고 첨단기술을 동원해 조성한 산업단지 보유도 에티오피아가 지닌 특장점으로 언급할 수 있다.

결론: 에티오피아  투자자를 위한 제언
에티오피아에 투자하는 기업 입장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로는 금융, 토지, 정부 지원, 인건비 등이 있고, 투자 분야에 따라서는 물·전력·에너지 가용성, 수송망, 원자재 조달의 용이성, 현지 안전, 구체적 투자 형태 등에 관한 분석도 요구된다. 참고로 현재  에티오피아는 최저임금 법령이 존재하지 않아 인건비가 저렴한 편이라는 점이 장점이지만, 최근 발생한 인플레이션이 생활비를 끌어올려 향후 인건비에 상향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염두에 두어야 한다(Anemut, 2020). 또한 에티오피아 비르(ETB)와 달러 간 환율이 불안정하다는 점, 무장분쟁으로 인해 국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도 투자자 입장에서는 위험요소로 기능한다.

따라서 에티오피아에 투자하고자 하는 민간기업은 리스크 분석과 더불어 PESTLE1) 분석을 함께 수행하고 현지에 적용되는 투자, 농업, 무역, 금융, 산업 정책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또한 투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산품 일부를 현지 시장에 판매함으로써 지역공동체와의 동질감을 확보하고, 민간 투자 증진을 지향하는 에티오피아 정부와의 윈-윈 관계 수립을 모색하는 등의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각주
1) [역주] 의사결정 과정에서 대상지의 정치(political), 경제(economic), 사회(social), 기술(technoological), 환경(environmental), 법(legal) 관련 거시적 환경에 대한 분석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