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두바이 부동산 가격 상승 원인 및 전망

아랍에미리트 손성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원 2014/04/11

■ 실물경기가 살아나면서 두바이(Dubai)의 부동산 매매 가격이 2009년 모라토리엄 선언 이전 수준으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음1).

 

- 2000년대 이후 두바이 정부는 외국 자본을 활용한 공급 주도형 개발전략의 일환으로 대규모 부동산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여기에 막대한 투기 자본이 유입되면서 부동산 매매 가격은 2008년 8월 기준 USD 350/ft2(1,300만원/평)로 빠르게 상승하였음.

- 2008년 세계 금융위기의 여파로 중동에서도 유동성 부족 문제가 발생했고, 대규모 부동산 개발에 나섰던 국영기업 나킬(Nakheel)의 채무 문제로 두바이 정부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면서 2011년 부동산 가격은 2008년 고점 대비 63% 수준으로 하락하였음.

- 그러나 2011년 이후 비석유 부문을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되면서 두바이 부동산 매매가격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연간 상승률: 2012년 16.6%, 2013년 26.8%).

o 2014년 3월 일반 주택의 매매 가격이 USD 377.5/ft2(1,400만원/평)를 기록하며 모라토리엄 이전 수준을 웃돌고 있음. 특히 고급 빌라 및 아파트의 가격 상승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남.


■ 두바이의 부동산 가격 회복은 ‘아랍의 봄’ 이후 정치․경제적 안전지역(Safety Zone)으로의 부상, 관광산업 성장 및 EXPO 유치 확정에 따른 건설 수요 증가, 자본시장 저 발달 등의 영향에 의한 것임.

 

- ‘아랍의 봄’의 영향으로 2011년 이후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보다 정치 리스크가 낮고, 사업 환경이 우수한 두바이로의 기업 투자 유입이 증가하였음.

- 안정된 치안 및 풍부한 관광 시설로 인해 두바이를 찾는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으며, 2020년 엑스포와 같은 국제 행사 유치로 관련 시설 개발과 함께 고급 빌라 및 호텔의 추가 건설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 국가는 채권시장과 같은 자본시장의 발달 정도가 낮음. 이에 따라 유가 상승 및 경기회복으로 늘어난 유동성이 대거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되는 구조적 문제를 보이고 있음2)

 

■ 두바이 정부가 부동산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나 투기성 자본의 유입이 지속되고 있고, 경기회복 및 향후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당분간 부동산 가격 상승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두바이 정부는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2013년 말에 부동산 거래세 인상(2% → 4%), 은행의 부동산 대출 요건심사 강화, 주택 구매 시 대출한도 축소, 부동산 개발자의 의무 자본비율 확대(5% → 40%) 등의 규제를 도입한 바 있음3)

o 그러나 두바이 고급 부동산 구매 시 현금 거래가 많기 때문에 투기성 자본에 대한 규제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음.

- 2020년 EXPO 유치에 따른 기대 심리 및 투자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에마르, 나킬을 비롯한 국영 부동산 개발기업이 대형 주거단지 및 쇼핑몰에 대한 건설 계획을 발표하면서 당분간 부동산 시장의 추가 가격 상승이 예상됨.

- 그러나 국제 유가 급락 등의 대외 악재가 발생할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 국영기업 채무 증가, 두바이 정부의 재정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음.

o 원유는 UAE 정부 재정 수입의 89.9%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재정지출 확대 정책으로 재정수지 흑자 폭도 감소하고 있음.

o 두바이 정부의 부채규모는 약 1,424억 달러이며(두바이 및 북부 토후국 GDP의 101.5%, 2013년 5월 기준), 이 중 2009년 두바이 채무위기의 근원이었던 두바이 월드와 자회사인 나킬, 두바이 홀딩 등 국영기업의 부채는 932억 달러에 달함4).

 

1) 아랍에미리트는 7개 토후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바이는 아랍에미리트에서 아부다비(Abu Dhabi) 다음으로 경제 및 인구 비중이 큰 토후국임.
2) Arivai, Zsofia, Ananthakrishnan Prasad and Kentaro Katayama. 2014. “Macroprudential Policy in the GCC Countries.” IMF Staff Discussion Note, p. 15.
3) EIU. 2014. “An important year for Dubai's property sector.” (January 29th). 
4) IMF. 2013. “Staff Report for the 2013 Article IV Consultation: United Arab Emirates.” p. 30.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