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2024년 몽골 금융업 정보

몽골 KOTRA 2024/11/07

몽골, 10년만에 신용등급 상향, 경제 회복 신호

급성장하는 핀테크 시장, 지속적인 규제 개선


금융산업 관련 주요 기관

 

몽골의 금융업 관할 주요 기관은 중앙은행(Bank of Mongolia)과 금융규제위원회(Financial Regulatory Commission)이다. 금융규제위원회는 몽골의 사회·경제 발전 수준과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 부문을 아우르는 자본시장 발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규제 조치를 통해 자본시장 활성화와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에 힘쓰고 있다.


정부와 국회의 주도로 시행되는 은행 부문 개혁, 국영 기업의 민영화, "대출 금리 인하 전략" 등 주요 정책은 자본시장 발전을 촉진해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몽골 금융규제위원회는 금융 산업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투자자, 소비자, 보험 가입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비은행 금융업체, 부동산 중개업체, 귀금속 거래업체에 대한 검사와 감독을 담당하며, 금융 정책을 조정하고 규제 환경을 마련하는 정부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몽골 금융규제위원회 관장 주요 업무>

주요 업무 구분

세부 내용

과제1

금융 산업의 안정성 제고

과제2

투자자·고객·보험 가입자 권리 보호

과제3

은행 외 금융산업·부동산 중개기업·귀금속상 대상으로의 검사

과제4

정책 조정 환경 구성

[자료: www.frc.mn ]

 

금융 정책 및 규제

 

몽골 금융규제위원회는 4년 주기로 정책을 수립하고 발표하는데, 2022년에는 ‘2018~2021년 금융규제위원회 전략 및 계획’에 대한 내부 감사 부서의 모니터링 및 평가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87.0%의 이행률로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밝힌 바 있다.


향후 금융규제위원회의 ‘2022~2025년 전략 계획’은 스마트 금융 시장 구축을 목표로 하며, 몽골 국회의 2020년 제52호 결의로 승인된 "비전 2050" 장기 발전 정책, 2020년 제23호 결의로 승인된 "2021~2025년 몽골 발전 5개년 기본 방향", 그리고 2020년 제24호 결의로 승인된 "몽골 정부의 2020~2024년 운영 계획"과 연계한 법적 요구에 따라 수립되었다. 이 전략 계획을 수립할 때 구체성, 측정 가능성, 달성 가능성, 현실성 및 자원 고려, 목표의 적합성, 그리고 명확한 시간 기준이라는 S.M.A.R.T 원칙을 준수했다.


<전략 계획 수립 원칙>

[자료: www.legalinfo.mn]


몽골 금융규제위원회는 올바른 금융 정책 수립과 효율적인 검사 및 감독을 통해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고, 금융 시장의 신뢰를 증진시키, 안정적인 금융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2024년 위원회는 4가지 주요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그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2022~2025년 금융규제위원회 전략 계획 중 주요 목표>

구분

세부 내용

목표1

유연한 규제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 시장을 지원

목표2

금융 시장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

목표3

투자자와 고객의 권익을 보호

목표4

가치를 중시하는 규제 기관이 되기

[자료: 금융규제위원회/www.frc.mn/]

 

금융업 관련 주요 법률

 

금융업 관련 주요 법령으로는 증권, 보험, 비은행금융기관 등의 사업을 조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법령들이 존재한다. 증권 시장은 '증권시장법'에 의해 관리되며, 보험 시장은 '보험법'과 '보험시장 참여자 관련 법'에 따른 규제의 대상이다. 비은행금융기관 시장은 '비은행금융기관의 활동에 관한 법'에 따라 조정되며, 이외에도 '저축기관 관련 법', '외환 조정 관련 법', '대출 보증기금 관련 법', '투자 기금 관련 법', '결제를 국내 화폐로 수행하는 것에 관한 법' 등의 법령들이 있다.


또한, 핀테크 시장이 확산함에 따라 최근 4년간 관련 법률과 규제가 대폭 개정됐으며, ‘사이버 보안법’, ‘개인정보 보호법’, ‘공공 정보 투명성법’, ‘전자 서명법’,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자법’ 등이 주요 개정 사항에 포함돼 있다.

 

최신 기술

 

몽골 금융 시장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되며 핀테크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몽골 핀테크 시장은 2014년 은행 간 소액 이체 및 즉시 입금 서비스 도입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이후 2015년에는 결제 시스템이 정책화되었고, 2016년 결제 시스템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2017년에는 국가 결제 시스템에 관한 법이 제정되어 디지털 화폐를 통한 결제를 허용하는 규정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법적 제도의 발전은 몽골 핀테크 시장의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019년 이후 몽골의 스마트폰 사용자는 꾸준히 증가해, 2024년 기준 총 408만 명을 넘어섰다. 이 중 64.3%는 Android 운영체제를, 32.7%는 iOS를, 나머지 3.1%는 기타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스마트폰 보급률 증가는 핀테크 및 디지털 금융 서비스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몽골 스마트폰 사용자 수와 모바일 운영체제별 점유율>

(단위: 명, %)

[자료: 몽골 정보통신위원회]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와 온라인 금융 거래 수요가 급증하면서 몽골 핀테크 시장은 급격히 활성화되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자 수 증가도 핀테크 시장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 이에 따라 디지털 결제와 전자 화폐 같은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가 빠르게 자리 잡았으며, 2021년에는 이러한 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법과 개인정보 보호법이 제정됐다.


기술 발전과 법제화 속도의 차이로 인해, 몽골 금융규제위원회(Financial Regulatory Commission) 및 중앙은행은 은행 외 금융기관이 디지털 결제를 통해 교환, 이체, 결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허 발급 및 취소 권한을 부여했다. 이를 통해 비은행 금융기관들이 디지털 금융 서비스 시장에 활발히 진출하게 됐다.


2021년 3월, 몽골 금융 안정성 협의회는 핀테크 신제품 및 서비스를 시장에서 시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Sandbox 규정을 제정했다. 이 규정은 1년간 유효하며, 한 번의 연장이 가능하다. 중앙은행은 최근 가상 자산에 대한 법안을 발의하였으며, 이 법안은 곧 국회에서 논의될 예정이다. 이러한 법적 기반과 제도적 지원은 다양한 디지털 금융 기관들이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주요 이슈

 

국제 신용평가사 Fitch Ratings는 2024년 9월 18일, 몽골의 국가 신용등급을 "B"에서 "B+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2015년 이후 처음으로 몽골의 신용등급이 상향된 것인데, 광산업 성장 및 정부의 재정 관리 개선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Fitch Ratings는 이번 신용등급 상향의 주요 기여 요인으로 다음 사항들을 발표했다.


- 광산업 성장: 광산업, 특히 오유톨고이(Oyutolgoi) 광산의 지하 채굴이 경제 성장을 이끌며, 2024~2026년 몽골 경제는 평균 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Fitch Ratings에 따르면, 이는 동일 등급 국가들보다 2% 높은 수준이다.


- 부채 관리 및 재정 건전성: 2024년부터 몽골의 정부 부채는 GDP 대비 44%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매년 GDP의 2%에 해당하는 외채를 상환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GDP의 10%에 해당하는 저축을 달성하고, 이를 주로 미래유산기금과 재정안정화기금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 재정 및 통화 정책: 2024년에는 정부 수입이 26%, 지출이 36%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2025~2026년에는 지출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Fitch Ratings는 정부의 수입 전망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고 평가했으나, 재정적자는 다른 "B" 등급 국가와 유사한 수준인 3%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몽골 중앙은행은 2024년 9월 정책금리를 10%로 인하하였으며, 인플레이션은 8% 내외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외환보유고 증가: 2023년 기준 몽골 중앙은행(Mongol Bank) 외환보유고는 48억 달러에 도달했으며, 중앙은행은 중국 인민은행(The People’s Bank of China)과의 통화 스왑 계약을 통해 2022년 8월 5억 달러였던 순 외환보유액을 2024년 7월 37억 달러로 크게 증가시켰다고 발표했다.


- 정치적 안정: 세계은행의 거버넌스 지표에서 몽골은 비교적 양호한 평가를 받았으며, 1인당 GDP는 광산업 성장의 영향을 받아 "B" 등급 국가 중에서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Fitch Ratings에 따르면, 2024년 총선에서 몽골 인민당(MAN)이 대다수 의석을 확보하면서 정부의 정책적 연속성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몽골의 신용등급 상향은 광산업의 성장, 재정 건전성, 외환보유고 증대 등 긍정적인 경제 신호를 반영한 것이며, 이는 향후 투자 유치와 금융 시장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업 기업 현황

 

몽골 통계청에 의하면, 2024년 기준 전체 사업체 24만5753개 중 약 2.4%에 해당하는 4849개 업체가 금융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전체 금융업체 중 2102개 업체만이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데, 이중 약1597개 업체가 울란바토르 소재 기업, 505개 업체가 지방 소재 기업인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활동 중인 2102개 기업 중 외국인 투자기업 수는 29개, 합작기업 수는 19개, 현지법인 기업 수는 2102개, 국영 기업 수는 16개로 확인되고 있다.

 

<금융업 종사 기업체 현황>

(단위: 개, %)

연도

전체 기업 수

금융업 종사 기업

전체 금융업체 수

지속적인 활동 기업 수

금융업체 중 활동기업 비중

2013

99,609

2,813

1,679

59.7%

2014

113,610

2,957

1,610

54.4%

2015

126,568

3,240

1,767

54.5%

2016

141,514

3,670

1,986

54.1%

2017

155,077

3,993

2,194

54.9%

2018

170,178

4,258

2,286

53.7%

2019

187,783

4,579

2,430

53%

2020

200,451

4,790

2,314

48%

2021

230,608

5,056

1,836

36.3%

2022

248,831

5,193

1,967

37.8%

2023

234,519

4,820

2,101

43.5%

2024

245,753

4,849

2,102

43.3%

[자료: 몽골 통계청]

 

몽골 금융업에서 영업 활동 시 중앙은행 혹은 금융규제위원회로부터 특별 허가를 취득해야 하며, 현지법인 설립 후 관련 특별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 몽골 금융시장을 ①증권시장 ②보험시장 ③비은행금융기관 ④저축기관 ⑤부동산 중개 ⑥귀금속 판매시장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2024년 2분기 기준 증권시장에는 608개사, 보험시장에는 339개사, 비은행금융기관 549개, 저축기관 192개, 부동산중개사 311개, 귀금속 판매자 개인 453명, 법인 53개 등으로 집계되었다.


비은행 금융 기업의 88.5%는 대출 상품을, 10.9%는 외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용자 수는 490만 명을 돌파하였다. 현재 56개의 핀테크 업체가 운영 중이며, 이 중 7개는 기술에만 기반을 두고 있는 반면, 49개는 기술과 전통 방식을 결합했다.


<몽골 주요 핀테크 기업>

No

기업명

앱 이름

공식 패이지

1

Ard Financial Group

Ard

https://ard.mn/

2

Golomt Bank

Social Pay

https://socialpay.mn/

3

Innovation Investment LLC

QPay

https://pocket.mn/

4

Gyals Credit NBFI

Sendly

https://sendly.mn/

5

Invescore LLC

Pocket

https://www.invescore.mn/mn/

6

MPSC NBFI

Toki

https://www.toki.mn/

7

Numur Credit NBFI

Numur

https://numur.mn/

8

SENDMN NBFI LLC

SendMN

https://www.send.mn/

9

Store pay LLC

Storepay

https://storepay.mn/

10

Tavan Bogd Finance NBFI

Payon

https://payon.mn/

[자료: 몽골 핀테크 협회]


금융업 수급 현황

 

1) 금융업 동향

 

몽골의 금융 산업 규모는 전체 GDP의 4.8%에 해당하는 3조2584억 투그릭(약 9억6404만 USD) 수준으로, 2021년 이후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년 대비 27.4% 증가한 수치로, 금융 산업이 몽골 경제에서 꾸준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록 몽골 금융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코로나19로 인해 몽골 경제는 5.3%의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금융 산업은 0.9%의 플러스 성장률을 보이며 비교적 견고한 모습을 보였다. 2011년부터는 광업을 중심으로 한 외국인 투자 유입과 주택담보대출의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약 50%의 역대 최고 성장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비록 2015년 이후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과 외국인 투자 감소로 인해 경기 둔화가 시작됐으나, 2017년에는 IMF의 관리 체제 도입을 통해 경제 안정화를 이루면서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 경제가 위축됐음에도 불구하고, 몽골의 금융 산업은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금융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에서 5.1%로 확대되며, 경제에서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몽골의 금융산업 동향>

(단위: 십억 투그릭, %)

연도

몽골의 GDP

금융산업

GDP 중 금융업 비중

생산금액

실질 성장률

생산금액

실질 성장률

2010년

9,756.5

6.4

239.6

0.3

2.5

2011년

13,173.7

17.3

381.1

49.2

2.9

2012년

16,688.4

12.3

583.5

42.4

3.5

2013년

19,174.2

11.6

782.3

30.8

4.1

2014년

22,227.0

7.9

1,041.7

32.6

4.7

2015년

23,150.30

2.4

1,239.6

14.6

5.4

2016년

23,942.80

1.2

1,224.3

2.3

5.1

2017년

27,876.20

5.3

1,417.5

9.1

5.1

2018년

32,411.20

7.2

1,559.1

5.5

4.9

2019년

37,280.80

5.2

1,802.4

10.3

4.9

2020년

36,958.50

-5.3

1,836.0

0.9

4.5

2021년

43,555.48

1.6

2,059.8

9.7

4.9

2022년

53,851.54

5.0

2,556.8

2.7

4.9

2023년

70,441.51

7.4

3,258.4

11.5

4.8

[자료: 몽골 통계청/www.1212.mn/]

*주: 몽골 중앙은행 2024년 9월 23일 기준 1$=3,381투그릭(MNT)


①: 은행업


몽골 은행 연합회 2024년 자료에 따르면, 몽골의 은행업 부문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체 자산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 대출 중 제조업, 건설업, 또한 무역 및 서비스 부문에 제공된 대출 규모가 급격히 증가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인플레이션 상승세가 둔화되고, 투그릭 환율이 강세를 보임에 따라 투그릭 예금의 수익률도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몽골에는 현재 12개의 상업은행이 운영 중이며, 그 중 주요 5개 은행이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참고로, 2023년에는 몽골 최초의 네오뱅크인 M Bank가 출범하여 금융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켰다.


몽골의 은행 부문에서 부실 대출(Non-performing Loans, NPL) 규모는 감소하여 최근 10년 중 최저 수준에 도달했다. 경제 부문, 특히 광업, 제조업, 건설업의 회복이 대출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며, 대출 공급이 증가한 점도 부실 대출 감소에 기여했다.

 

<몽골 주요 은행 자산 동향 (매년 2분기 기준)>

(단위: 조 투그릭)

[자료: 몽골 은행 연합회]

*주: 몽골 중앙은행 2024년 9월 23일 기준 1USD=3381투그릭(MNT)

 

 

<몽골 중앙은행으로부터 은행업 운행 허가를 받은 상업은행 리스트>

[자료: 몽골 은행 연합회]


②: 증권시장

 

몽골은 1990년 헌법 개정 및 정치개혁과 시장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국유기업을 사유화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몽골 정부는 1991년 1월18일 증권거래소를 설립했다. 1991~1995년은 국유재산 사유화 정책 추진으로 동 기간 9,610만 주, 총 83억 달러 가치를 가진 474개의 국유기업이 증권거래소를 통해 약 80만 명의 국민에게 이전되므로 증권시장 역사가 시작되었다.


현재 몽골 증권시장은 3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발전이 지속되고 있으나 1991~1995년에 민영화를 목적으로 476개의 국영공장을 자본시장에 등록시킨 이후 점차 감소세를 보여 2021년 5월 기준 312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2010년 시가총액은 1조3739억 투그릭(10억929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1년 5월 현재 3조6951억 투그릭(12억9698만 달러)로 현지화 기준으로 10년 만에 약 3배 성장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2024년 기준 몽골 증권 시장에는 총 602개의 규제 대상 법인 및 주식회사가 운영되고 있다. 총 7872억 투그릭 상당의 증권이 시장에서 거래되었는데, 이는 전년 대비 32.3% 증가한 수치이며, 2019년 대비 5.5배 성장한 수치이다.


전체 거래 중 66.7%는 주식 거래, 7.7%는 투자 펀드의 단위권 거래, 17.5%는 회사채 거래, 8.1%는 자산 담보 증권 거래가 각각 차지하고 있다.

 

③: 보험시장

 

몽골 금융업의 GDP 기여율은 4.8%이며, 이중 보험시장 기여율은 0.6%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금융규제위원회에서 발급한 특별면허 건으로 2024년 기준 337개의 보험사, 중개사, 감사기관, 손해 평가사, 보험 수리사와 2,416개의 보험 대리점이 활동 중이다.


총자산 규모는 전년 대비 16.1% 증가하여 5514억 투그릭에 달했으며, 2019년과 비교했을 때 50.7% 성장한 수치를 기록했다.

- 일반 보험사의 총 자산은 다른 보험 유형과 비교해 전년 대비 17.8% 증가하여 4690억 투그릭에 도달해 보험 산업 전체 자산의 85.0%를 차지했다.

- 장기 보험사의 총자산은 전년 대비 0.6% 증가하여 165억 투그릭에 도달, 산업 전체 자산의 3.0%를 차지했다.

- 재보험사의 총자산은 전년 대비 9.3% 증가하여 659억 투그릭에 도달, 이는 산업 전체 자산의 12.0%를 차지했다.

 

<몽골 보험시장 현황>

(단위: 백만 투그릭)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보험료수입

178,704.8

196,600.4

201,500

247,479.6

304,800.9

398,736.3

보험금

58,212.6

65,472.8

59,800

69,958.7

94,423.5

120,872.2

보험회사 수

19

18

16

17

18

18

고용 인원

1,342

1,164

1,270

1,475

1,411

1,327

[자료: 몽골 통계청]

*주: 몽골 중앙은행 2024년 9월 23일 기준 1USD=3381투그릭(MNT)


<최근 5개년 몽골 보험사 자산 및 보험료 현황>

(단위: 10억 투그릭)

[자료: 몽골 금융규제위원회]

*주: 몽골 중앙은행 2024년 9월 23일 기준 1USD=3381투그릭(MNT)


④: 비은행금융기관 시장

 

2024년 2분기 기준으로, 몽골에서 금융 규정위원회가 발급한 특별 허가를 받은 549개의 비은행 금융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한 수치이다. 연내 고객 수는 487만 명에 도달해,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 대출자 수는 186만 명으로, 전년 대비 4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전체 비은행 금융기관 중 4.9%에 해당하는 26개 기관은 외국인 투자 기업이며, 이들의 자산 규모는 8850억 투그릭으로, 전체 자산의 15.4%를 차지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 기업의 50%인 13개사는 일본, 23.1%인 6개사는 한국, 2개사는 미국 투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머지는 영국, 캐나다, 말레이시아, 세이셸, 중국 등의 국가로부터 투자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4년 기준, 비은행 금융기관의 전체 자산 규모는 몽골 GDP의 8.2%에 해당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8009억 투그릭으로 집계되었으며, 이 중에 89%를 이자를 통한 수익, 비이자 수익은 9%를 차지하는 등 이자를 통한 수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 비은행금융기관시장 현황>

(단위: 백만 투그릭, 개)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매출액

259,496.4

352,920.8

408,800

521,264

867,856

1,163,797

지출

158,365.2

212,752.4

253,973

311,259

554,941

731,671

순이익

77,166

140,176.7

154,641

210,005

312,319

432,126

기관 수

539

538

532

534

513

529

[자료: 몽골 통계청]

*주: 몽골 중앙은행 2024년 9월 23일 기준 1USD=3381투그릭(MNT)

 

다.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s

Weaknesses

-젊은 인구: 몽골은 젊은 인구 비율이 높아 디지털 금융 기술을 빠르게 수용할 가능성이 큼

-성장 잠재력: 몽골 금융 시장은 자원 개발과 외국인 직접 투자 활성화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제한된 금융 접근성: 도시와 비도시 지역 간 금융 서비스 접근성의 격차가 여전히 크며, 비도시 지역은 금융 서비스 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음

-금융 인프라 미비: 몽골 금융 시장은 규모가 작으며, 대형 외국 금융 기관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Opportunities

Threats

- 디지털 금융 확장: 몽골에서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금융 서비스가 확대될 가능성이 큼

- 핀테크 발전: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 전자 화폐 등 새로운 금융 기술이 빠르게 도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관련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사이버 보안 위협: 핀테크 서비스가 디지털 기반으로 운영되면서 사이버 보안 위협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서비스의 신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경제 의존성: 몽골 경제는 광물 자원 가격 변동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음

 

 

유망분야

 

현재 몽골 비은행 금융 부문에서 외국인 투자 기업 중 한국 투자 기업의 비중은 23.1%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몽골 금융 시장에 우리 기업들의 진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몽골의 스마트폰 사용자 수는 400만 명을 넘어섰으며, 34세 이하의 젊은 인구 비율이 높아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평가된다.


더불어, 세계적인 조사 기관들로부터 몽골 경제 회복과 함께 금융 시장도 점차 안정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핀테크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디지털 결제, 모바일 뱅킹, 블록체인 등의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이처럼 몽골은 금융 기술 혁신이 유망한 분야로 평가되며, 우리 기업들이 이러한 성장 가능성을 활용하여 비은행 금융 부문뿐만 아니라 핀테크 분야에서도 성공적인 진출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몽골의 보험과 중계사 부문도 아직 초기 발전 단계에 있어, 한국 기업들이 이 시장에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크다.


 

자료: 몽골 금융규제위원회, 몽골 정보통신위원회, 현지은행협회, 각 언론 기사, KOTRA 울란바토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